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ommand Block53

아이템의 이름과 설명을 보여준다({display}) 하요! 반가워요 하루린입니다. 오늘은 아이템의 이름과 설명을 만들어주는 태그인({display})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이 태그는 모든 블럭과 아이템에 사용이 가능한데요. 그럼 그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먼저 그 사용법은 이렇게{display:{Name:?????,Lore:[??????]}} 표기를 해주는데요.. 만약에 전체적으로 표기를 해본다면 저번에 /give명령어의 예시를 가져올게요. 마인크래프트 플레이어에게 아이템을 준다(/give)에서 보면 예시 : /give @p minecraft:planks 30 1 {display:{Lore:[귀하다]}}에서 보면 {display}가 나오는데요. 그 잘 보셔야 하네요. 이 태그를 잘보면 {display:{Name:?????,Lore:.. 2015. 4. 25.
마인크래프트 플레이어에게 아이템을 준다(/give) 하요! 하루린입니다. 오늘은 마인크래프트 플레이어에게 아이템을 주는 명령어를(/give) 알아보도록 할게요. 이 명령어는 버전 1.3.2버전 오래 되었죠. 그때 최초 추가가 되었네요. 사용하는 법은 /give [수량(양)] [(아이템)데이터] [데이터 태그]플레이어에게 아이템을 추가해주는 명령어인데요. 정확히 말하면 그 플레이어가 있는 지점에 아이템 엔티티를 소환하네요. 플레이어. 보통 닉네임은 긴 경우가 많으니 Tab을 이용하면 되고요. 아이템의 이름을 적으면 되네요. 생략하면 1개를 주며, 1~64 사이의 수만 입력이 가능하네요. [아이템 데이터]아이템의 데이터인데요. 같은 종류의 블럭이라도 여러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는데 이러한 것들을 구별하기 위함이네요. 저번에도 이야기 드린거지만 양털일경우는.. 2015. 4. 23.
마인크래프트 명령어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setblock) 하요! 안녕하세요. 하루린입니다. 마인크래프 명령어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setblock이라는 건데요. 명령어 말처럼 블록을 설치한다는 말이죠. 자 그럼 이 명령어에 대해 좀 더 알아볼까요? 먼저 어떻게 사용번에 대해 알아보록 할까요. 이 명령어는 버전 1.7.2버전에서 나왔는데요. 엄청나게 활용도가 높네요.... 요 명령어의 사용법은 /setblock [데이터 값] [이전블록 처리] [데이터 태그] 으로 표기를 하는데요. 자 볼까요? 뭐 좌표겠죠. 이 블록이 설치될 곳의 좌표이 좌표에 어떤 블럭을 설치할 것인가하는 것이고[데이터 값]어떤 블럭은 그 종류가 몇개가 되네요. 예를 들자면 양털(Wool)은 그 종류만 10개 이상을 있으니깐 그 번호라고 보시면 되네요.[이전.. 2015. 4. 22.
마인크래프트 플레이어의 화면에 제목을 표시(/title) 하요! 반갑습니다. 하루린입니다. 오늘은 /title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아프리카 방송에서 이 명령어에 대해 보여드리니깐 모두들 놀라시더군요... 그런데 솔직하게 그 분은 이 /title 명령어가 최근에 자주 탈출맵에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네요...이 명령어는 1.8.0버전에서 처음 나왔던 명령어이고 그 이후로 만들어진 탈출맵은 우리가 알고 있는 수준을 넘어서게 되는거죠.... 플레이어의 화면에 제목을 표시하는 명령어이네요. 아래쪽에 예시는 특정한 사이트를 들어가서 작업을 해서 당겨온거네요... 그리고 그 사이트는 나중에 다시 이야기 할게요. 1. /title title 타이틀을 제목에 표시한다.예시 : /title @a title ["",{"text":"Epi.. 2015. 4. 21.
마인크래프트 아이템의 속성을 바꾸다({ench}) 하요! 하루린입니다. 음 어떤 태그를 먼저 소개시켜느냐에 대해 무척이나 고민을 하였네요. 모든 태그들이 다 중요하고 곧 나올 testfor명령어에서도 사용을 할 수 있는 태그를 준비하려고 하니 그것은 좀 더 난이 한것 같고 해서 많은 고민을 하다가 결국은 아이템의 속성을 바꾸는 {ench}태그를 가져오게 되었는데요. 이 {ench}태그는 단독으로 사용을 하여 enchant로 사용을 할 수가 있네요. 결국은 /enchant라고 하여 아이템의 속성을 변경을 시킬 수 있네요. /enchant에 대한 것은 초급에서 다루기로 할게요.. 자! 그럼 먼저 Command Block를 꺼내어야 되겠죠. 그리고 그전에 하나 알아두워야 할 사이트는 제가 미리 소개를 시켜드렸네요. 티스토리에서 들어가기 Mcstacker 사이.. 2015. 4. 20.
Command block명령어를 위한 사이트(Mcstacker) 하요! 반갑습니다. 하루린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이 알아야 할 Command block필요한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처음에 저도 Command block을 꺼내는 방법 조차도 몰랐네요. 그래서 이런 저런 사이트를 찾고 블로그를 찾아서 결국은 찾는 방법을 알았고요. 왜냐하면 지금은 1.8.0버전에서는 Command block으로 글자를 입력을 하고 /give 유저이름 command_block 이렇게 입력을 해야 하는데 command_block에 숫자를 입력을 하니깐 나오질 않아서 이것은 1.7버전으로 했다가 다시 1.8버전으로 다시 돌아오는 해프닝을 벌인적이 있네요. ㅎㅎㅎㅎㅎㅎㅎㅎ 그리고 Command block의 명령어를 천천히 배우기 시작하면 이런 명령어가 조금씩 복잡하게 만들어지기 시작한.. 2015. 4. 19.
마인크래프트의 난이도 설정(/difficulty) 하요!!! 하루린입니다. 오늘은 마인크래프트의 난이도 설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이 명령어가 최초로 추가된 버전은 1.4.2에서 추가 되었고요. 사용방법은 /difficulty 이렇게 표기를 하는데요. 의 종류는 총 4가지가 있네요. 자 그럼 하나씩 알아보도록 할게요. /difficulty 0 (or p) : peaceful = 평화로움 /difficulty 1 (or e) : easy = 쉬움 /difficulty 2 (or n) : normal = 보통 /difficulty 3 (or h) : hard = 어려움 이것은 어디에서 많이 본거죠. 네 설정창에 들어가면 오른쪽 위를 보면 보이는 창인데요. 게임중에는 이런 설정을 바꾸는 것을 자제하여야 하기에 특히나 평화로움을 설정으로 지정하는 것은 더.. 2015. 4. 19.
마인크래프트 맵의 날씨와 시간을 정하자(weather,time) 안녕하세요. 하루린입니다. 벌써 봄이 성큼 다가왔네요. 이미 밖으로 통하는 창문을 열어 놓아도 될만한 날씨가 되었네요. 오늘은 이런 화창한 날씨와 시간을 생각하다보니 Command block의 명령어 중에 날씨와 시간을 담당하는 weather과 tim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자 그럼 먼저 weather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1. /weather 먼저 Command block에서 weather을 치면 그 사용법이 나오네요./weather [지속될 시간]으로 나오는데요. 자 처음부터 하나씩 알아보도록 할게요. 뒤의 는 처음부터 보면 clear는 비가 오거나 천둥이 치는 날씨를 맑게 하는 옵션이고 그럼 rain, thunder는 뭐 말 안해도 아시다시피 비가 오거나 천둥이 치는 효과를 나타내.. 2015. 4. 18.
마인크래프트의 환경을 결정하는 gamerule 2탄 안녕하세요 하루린입니다.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마인크래프트의 환경을 결정하는 gamerule에 대한 명령어 2탄으로 나머지 8개의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먼저 저번에 알려드렸던 /gamerule을 치고 한칸 띄우고 탭(tap)키를 치면 gamerule에 대한 여러가지 명령어가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거예요.뭐 복습은 안 하셔도 되고요. 밑에다가 링크를 걸어두도록 할게요. 찾아보도록 하세요. 앞의 7개의 명령어 보러가기 8. /gamerule keepInventory false(기본)너무나도 유명한 명령어이죠. 이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야생에서도 탈출맵에서도 꼭 필요한 명령어이기도 하는데요. 그것은 자신이 아이템을 자신이 죽었을때 가지고 있느냐 아니면 다 떨구느냐 하는 gamerule이며, 기.. 2015. 4. 17.
Commad Block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적는 이유 하요! 하루린입니다. 제가 방송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넣어보았네요. 하요!는 만날때의 인사 그리고 바요!는 나갈때(퇴장시)의 인사말로 최근에 지정을 하였네요. 제목에서 나온것 처럼 Commad Block에서 중급을 만든 이유는 기초에서는 Commad Block의 기본적인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는 것으로 하는 곳이고 중급에서는 좀더 나아가서 초급에서는 다루지 않은 잘 알고 있는 태그나 해당 명령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태그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알아보는 것으로 할것이고, 나중에 중급이상의 고급을 만들어서 태그를 이용하여 좀더 복잡하게 만들거나 아니면 맵 제작자분들이 해 놓은 자료등을 알아보고 해보는 것으로 포스팅을 해 가보도록 하겠어요. 중급에서 다룰 내용은 아니지만 그만큼의 중요도가 있다고 생각을 하기에 하.. 2015. 4. 16.
반응형